장수의 조건
장수(지도자)의 조건/마음가짐
○【六韜 & 三略】
:태공망(太公望)과 주나라의 문왕,무왕과 나눈 내용을 기록(병법서)
- 첫째, 예를 갖출 것
- 둘째, 몸을 아끼지 말 것
- 셋째, 욕망을 절제할 것
- 勇,智,仁,信,忠(추가 5가지 조건들)
①용기와 결단력
②통찰력 또는 판단력
③부하들을 배려하고 아끼는 마음
④거짓을 말하지 않는 것
⑤충실함 또는 충성심
○ 【吳子】
:위나라 문후로부터 뛰어난 용병술로 인정받아 활약한 전국시대 초기의
병법가인 吳起의 소론을 정리한 책(76전 64승)
- 첫째, '理' 는 대군을 정비하여 일치단결시키는 것
- 둘째, '備' 는 준비되지 않은 싸움은 하지 마라는 것
- 셋째, '果' 는 과감하고 결단력 있게 끝까지 일을 처리하는 행동을 의미
- 넷째, '戒' 는 작은 일이라도 놓치지 말고 신중하게 조치하는 자세
- 다섯째, '約' 은 간소함, 간결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형식적인 규칙을
폐지하고 군령을 간소화하는 일이라고 함
- 威,德,仁,勇(추가 4가지 조건들)
①위엄 또는 위신
②인격적 조건으로 겸허,관용,신뢰를 들 수 있다
③부하들 배려하고 아끼는 마음
④결단력
○ 【近思錄】
:주자가 친구 여조겸의 도움으로 주자학의 기초를 다지고 주렴계,정명도,
정이천,장횡거 등 네 명의 저작 가운데 요점을 집어 편집한 학문지침서
- 첫째, '관이율(寬而栗)' 는 너그러우면서도 위엄이 있어야 한다
- 둘째, '유이입(柔而立)' 는 부드러우면서도 꿋꿋해야 한다
- 셋째, '원이공(原而恭)' 는 성실하면서도 공손해야 한다
- 넷째, '난이경(亂而敬戒)' 은 다스리면서도 공경해야 한다
- 다섯째, '요이의(擾而毅)' 는 온순하면서도 굳세야 한다
- 여섯째, '직이온(直而溫)' 은 곧으면서도 온화해야 한다
- 일곱째, '간이염(簡而廉)' 은 간단하게 처리하면서도 세심해야 한다
- 여덟째, '강이새(剛而塞)' 는 강하면서도 착실해야 한다
- 아홉째, '강이의(疆而義)' 는 용감하면서도 정의롭다
- 윗사람의 마음가짐(추가 3가지 조건들)
①뜻을 세우고(목표를 크게 세우고 확실한 방침을 확립)
②책임을 다하며(사원 개개인이 주어진 책임을 다하도록 지원)
③어진 이를 구해야 한다(대담하게 인재를 발탁)
○ 【諸葛亮集】
:오장원에서 웅대한 계획을 이루지 못하고 병사하기 前 저작으로
제갈량집 24편을 남겼으나, 대부분 소실되어 지금은 청대의 장주라는
사람이 편집한 것이 남아 있음
- 첫째, '인장(仁將)' 는 덕과 예를 갖추고 부하와 고충을 함께 나눈다
- 둘째, '의장(義將)' 은 책임감이 강하여 자신의 임무를 다하고
자기 이익을 챙기지 않는다
- 셋째, '예장(禮將)' 은 지위가 높아도 교만하지 않으며 지혜롭고
겸손하며 강직하고 참을성이 강하다
- 넷째, '지장(智將)' 은 기발한 계략으로 종횡무진하며 어떠한 사태에도
대처할 수 있어 화를 복으로 전환시키고 위기 속에서도 승리를
이끌어 낸다
- 다섯째, '신장(信將)' 은 신상필벌 주의에 입각하여 부하를 대하고 한 번
약속한 일은 반드시 지킨다
- 여섯째, '보장(步將)' 은 군마보다 빠르고 투지가 넘쳐 국경을
수비하는데 적격이며 무술에 능하다
- 일곱째, '기장(騎將)' 은 바람직한 실전형 지도자
- 여덟째, '맹장(猛將)' 은 상대가 강할수록 투지를 불태우는 지도자
- 아홉째, '대장(大將)' 은 너그럽고 강직하며 용감하고 기략이 뛰어나다
- 장수의 5선 4욕 (五善四慾)
:五善선은 장수가 파악해야 할 사항 다섯 가지
①적의 정황을 정확하게 판단한다
②전진하고 후퇴할 때를 정확하게 판단한다
③국력의 한계를 파악한다
④적절한 때를 알고 부하를 파악한다
⑤지형의 험난함을 파악한다
:四慾은 장수가 갖춰야 할 마음가짐 네 가지
①상대의 의표를 찌른다
②계략을 철저하게 비밀로 한다
③군대를 통제한다
④병사들을 단합시킨다
- 장수는 반드시 심복과 이목, 조아가 있어야 한다
:심복(心腹)은 마음놓고 믿을 수 있는 부하,
이목(耳目)은 눈과 귀가 될 만한 부하,
조아(爪牙)는 손발이 되어 일하는 부하를 의미함
·심복은 널리 학문에 능통해야 하고 지능이 뛰어나야 한다
·이목은 침착하고 냉정하며 입이 무거워야 한다
·조아는 용맹하고 과감하며 적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
- 부하를 대하는 장수의 마음가짐 다섯 가지
:인간을 관리하는 게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 일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
조직관리가 필요함
①대우를 후하게 한다
유능한 인재가 모여들 것이다
②예의와 신뢰를 갖고 부하를 대한다
③은혜를 베풀고 공평하게 법을 시행한다
④매사에 앞장서서 모범을 보인다
⑤부하가 공적을 세우면 아무리 작은 공이라도 상을 준다
□ 역사에서 만나는 뛰어난 보좌역
-周왕조의 창업을 도운 인물로 주공(周公)이 대표적이다
:주공은 무왕의 동생으로 문왕,무왕,성왕의 3대를 걸쳐 왕조의 기반을
다졌다
:간소하고 이해하기 쉬운 것을 이상적인 정치로 생각하여 지도자는
조직을 겸허한 자세로 간소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함
·아들(백금)과 강태공의 정치를 비교
-항우와 유방의 대결에서 유방이 승리한 이유도 훌륭한 보좌관이 있었다
:항우도 범증이라는 인재가 있었지만 항우가 그도 잘 다스리지 못했다
:유방은 훌륭한 전략을 구사하여 싸움을 승리로 이끄는 장량,
내정 충실,민생 안정,군량 조달,보급로를 확보하는 데 능력이 있는 소하,
백마나 대군을 능숙하게 지휘하여 승리로 이끌어 내는 한신이 있었다
각각,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면 한신은 영업담당 중역, 소하는 총무담당
중역, 장량은 기획담당 중역에 해당한다
·한의 개국 공신들 - '西漢三杰'(한신,소하,장량)
-삼국지에 등장하는 삼국시대 3대 전략가 이야기(제갈공명,순욱,노숙)
:위나라의 조조는 재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펼쳐 3국 중 가장 많은
인재들이 있었다
순욱, 곽가 등 가장 많은 책사를 활용했다
:인덕으로 부하를 다스린 촉나라의 유비에게는 제갈량과 방통이 있었다
:가장 유연하고 성실하게 부하를 대했던 손권의 오나라도 노숙이 있었다
[출처] 장수(지도자)의 조건/마음가짐|작성자 짱구
태공망의 심복(腹心一人)
"심복의 조건" 마음으로 복종하는 것은 기본이다.
여기에는 반드시 뒤따라야 하는 것은 인정이 아니라 "능력"이다